2025년 6월 3일 치러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당선되면서, 국내 부동산 시장의 향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. (저도 마찬가지고요..)
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선 결과가 부동산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향후 전망을 정리해보려고해요.

대선 전후 부동산 시장 분위기
• 최근 부동산 시장은 장기 경기 침체와 수도권-지방 간 양극화, 공급 불균형, 건설사 경영위기 등 복합적인 어려움 속에 있었습니다.
• 대선을 앞두고 시장은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와 불확실성으로 거래가 위축되고 관망세가 짙었습니다.
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 방향
1. 공급 확대와 재건축·재개발 규제 완화
• 250만 가구 주택 공급, 4기 신도시 개발, 유휴부지 활용, 직주근접형 플랫폼 주택 등 대규모 공급 정책을 예고했습니다.
• 노후 아파트 재건축·재개발 규제 완화, 용적률 상향, 1기 신도시 정비, 분담금 완화 등으로 정비사업을 촉진할 계획입니다.
2. 공공임대주택 및 청년·무주택자 지원
• 청년, 신혼부부,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비율을 높이고, 도심공공복합사업, 공공주택 리츠 도입 등 다양한 주거 안정화 방안을 추진합니다.
3. 교통 인프라 확충
• GTX(수도권 광역급행철도)와 연계한 신도시 개발, 주요 역세권 프리미엄 기대 등 교통망 확충이 핵심 공약입니다.
4. 세제 완화 및 시장 중심 정책
• 실수요자 세금 완화, 다주택자·투기성 자산에 대한 과세 유지, 거래세·보유세 인상 지양 등 시장 친화적 세제 정책을 강조합니다.
대선 이후 부동산 시장 전망
1. 단기적 영향: 거래 증가 vs. 가격 급등 제한
• 대선 이후 정책 기대감으로 그간 미뤄졌던 분양 일정이 재개되며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늘어날 수 있습니다.
• 그러나 공급 확대 정책의 실질적 효과는 중장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, 단기적으로는 가격 급등보다는 관망세와 점진적 거래 회복이 예상됩니다.
2. 서울·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지속
• 전문가들은 서울·수도권은 공급 부족과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맞물릴 경우 가격 상승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봅니다.
• 반면 지방은 인구 감소, 경기 침체 등 구조적 한계로 회복이 더딜 전망입니다.
3. 정책 실행력과 시장 변수의 중요성
• 이재명 정부의 공급 확대, 규제 완화 등은 국회 통과, 예산 확보, 지자체 협조 등 여러 관문을 거쳐야 하므로 실제 시장 반영까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.
• 금리, 경기, 글로벌 경제 등 대외 변수 역시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.
전문가 시각과 시장의 변수
• 대선 후보 모두 공급 확대와 정비사업 활성화에는 공감하지만, 구체적인 실행력과 시기, 규모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
• 정책 변화 외에도 금리 인하 시점,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부, 지방 미분양 해소 등 복합적 요인이 시장 흐름을 좌우할 전망입니다.
• 과거 사례를 보면 규제 강화기에는 집값이 큰 폭으로 올랐고, 규제 완화기에는 하락하거나 소폭 상승에 그쳤던 만큼, 정책 방향과 시장 상황이 맞물려야 실질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.
결론: 신중한 관망, 중장기적 변화 기대
• 대선 결과로 인한 정책 변화 기대감은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 신호를 줄 수 있지만, 단기적 급등보다는 점진적 회복과 지역별 차별화가 두드러질 전망입니다.
• 공급 확대, 규제 완화, 교통망 확충 등 새 정부의 공약이 실제로 얼마나 신속하게, 실효성 있게 실행되는지가 향후 시장의 핵심 변수가 될 것입니다.
정책은 시장을 변화시키는 하나의 변수일 뿐, 금리·경기·수급 등 거시적 요인과 맞물려야 시장이 본격적으로 움직인다.
앞으로 몇 달, 몇 년간의 흐름이 새 정부 부동산 정책의 성패를 가를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이네요.
'아주 보통의 서영데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장마와 폭염, 여름철 건강관리 꿀팁 총정리! (31) | 2025.06.19 |
---|---|
🌸 2025 전국 수국 명소 & 축제 총정리 🌸 (51) | 2025.06.18 |
맘편한 임신제도가 뭐지? (15) | 2025.05.27 |
스트레스 DSR 3단계 도입, 확정인가? (11) | 2025.05.25 |
2025 장마기간은 어떻게 될까? 최장 32일을 버텨보기 (11) | 2025.05.08 |